Wise는 실시간 환율 적용과 매우 적은 수수료로 해외 송금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이다.
- Wise 사이트에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한다.
- 로그인 후 Setting에 들어가 Token을 발급받는다.
- 아래 요청을 날리면 끝.
curl -X GET https://api.wise.com/v1/rates \
-H 'Authorization: Bearer <발급 받은 TOKEN>'
[
{
"rate": 1.166,
"source": "EUR",
"target": "USD",
"time": "2018-08-31T10:43:31+0000"
},
... more!
]
API 문서를 참고해서 요구사항에 맞게 요청을 날려보자.
curl -X GET https://api.wise.com/v1/rates\?source=KRW\&target=USD \
-H 'Authorization: Bearer <발급 받은 TOKEN>'
[{"rate":0.000710744,"source":"KRW","target":"USD","time":"2024-11-14T04:20:17+0000"}]
한화 10,000원을 달러로 바꾸고 싶은 경우 = 10000 * 0.000710744 = $7.10744
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3139879/how-do-i-get-currency-exchange-rates-via-an-api-such-as-google-finance
환율 정보를 제공하는 API가 유료인 경우가 생각보다 많.
이에 반해 Wise를 이용하면 무료로 횟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환율 정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좋은듯??
Fixer.io와 비교했을때 큰 차이 없는 걸보니 신뢰할 수 있는 환율 정보인 것 같다.